"응답하라 1988"이 단순한 청춘 드라마를 넘어 오랫동안 사랑받는 이유는, 주인공 다섯 친구의 이야기뿐 아니라 그들을 묵묵히 지켜본 부모들의 존재가 함께했기 때문입니다.
덕선, 정환, 택, 선우, 동룡의 부모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녀를 사랑하고, 가족을 지키기 위해 때로는 웃기고 때로는 울컥하는 삶을 살아냅니다.
이제는 자녀들을 통해 비춰졌던 부모 세대의 삶과 마음을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볼 차례입니다.
1. 성동일 & 이일화 (덕선이네 부모)
동일(덕선 아빠)
가부장적인 듯하지만, 속정 깊은 아버지로 그려집니다. 80년대 가장 보편적인 아버지 상으로,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지만 힘든 사람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합니다. 큰딸보다 막내와 장남을 더 챙기는 듯한 모습으로 둘째 덕선이 서운해하기도 합니다. 동네 사람들과도 가까운 친근한 아빠이자 아저씨 스타일입니다.
일화(덕선 엄마)
전형적인 한국 엄마 스타일. 남편의 빚보증으로 가난하게 살지만, 자식과 가족을 위해 헌신합니다. 덕선에게 둘째의 서러움을 들려주며 부모의 현실적인 고민을 보여줍니다.
2. 김성균 & 라미란 (정환이네 부모)
성균(정환 아빠)
쌍문동 골목의 개그 본능 담당. 아내 미란의 잔소리를 사랑으로 여기며, 배우지는 못했지만 가족을 향한 속정이 깊습니다. 유쾌한 가장이자 드라마의 따뜻한 중심 축입니다.
미란(정환 엄마)
털털하고 통쾌한 성격. 가난한 시절을 지나 복권 당첨 후에도 인심 좋고 씩씩한 엄마입니다. 이웃들과 잘 어울리며, 지혜롭고 현실적인 아줌마의 상징입니다.
3. 최무성 (택이 아빠)
무성(택이 아빠)
말수 적고 감정 표현이 서툰 과묵한 아버지. 아내 없이 아들 택이를 키우며, 평범한 아이처럼 자라기를 바라는 따뜻한 마음을 지녔습니다. 후반부 선영과의 사랑은 많은 시청자의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4. 김선영 (선우 엄마)
선영(선우 엄마)
남편 없이 두 남매를 키우는 강인한 어머니. 자녀들에게 남편의 빈자리를 느끼지 않도록 늘 따뜻하게 품어줍니다. 택이 아빠와의 인연은 외로운 삶 속에서 다시 피어난 행복이었습니다.
5. 유재명 & 유지수 (동룡이네 부모)
재명(동룡 아빠)
학생주임으로 원칙주의자지만, 실제로는 아들을 진심으로 걱정하는 아버지. 겉으로는 엄격하지만, 아들을 향한 은근한 애정을 보여주는 장면이 많습니다.
지수(동룡 엄마)
대한생명 조부장. 아이들의 이름으로 불리기 싫다며 독립적인 캐릭터를 유지하지만, 결국 아들의 사고 이후 모성애를 드러냅니다. 여성의 이름과 정체성을 유지한 아줌마로 묘사됩니다.
결론
“응답하라 1988”이 특별한 이유는 단순한 부모-자식 관계를 넘어, 부모들의 인생과 사랑이 따뜻하게 조명되었기 때문입니다. 무뚝뚝한 아버지, 헌신적인 어머니, 현실적인 부모들까지. 한국 가정의 다양한 모습이 세심하게 담겨 있습니다. 또한 쌍문동 이웃들과의 정을 통해 공동체의 따뜻함을 함께 느낄 수 있었던 작품이기도 합니다.